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50만원지원 자금소진시 종료

by espanolll 2025. 7. 7.
반응형

부담 경감 크레딧은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 형태의 크레딧으로 디지털 포인트로 제공됩니다. 이 크레딧은 공공요금(전기, 수도, 가스 등)과 4대 보험료(국민연금, 건강보험 등)를 자동으로 차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, 연 매출 3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에게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.

부담경감 크레딧

1. 지원 대상 및 제외 업종

지원 대상

  • 연 매출: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연 매출이 0원 초과, 3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
  • 개업일: 2025년 5월 1일 이전에 개업한 사업자

제외 업종

  • 유흥업, 사행업, 휴업 및 폐업 중인 업종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2. 지원 내용

  • 지원금액: 최대 50만 원
  • 차감 방식:
    • 전기, 수도, 가스 공과금 및 4대 보험료에서 차감됩니다.
    • 등록된 카드(신용, 체크, 선불)로 결제 시 자동으로 차감 처리됩니다.
  • 유의사항:
    • 현금이나 계좌이체는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.
    • 일부 카드에 대해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
3. 신청 기간

  • 신청 가능 기간: 2025년 7월 14일(월) 09:00부터 11월 28일(금) 18:00까지입니다.
  •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, 8월 1일 이후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.
  • 예산이 소진될 경우,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

📅 1주차 5부제 일정 (2025년 7월 14일 ~ 7월 18일)

날짜별 사업자번호 끝자리

  • 7/14 (월): 4, 9
  • 7/15 (화): 0, 5
  • 7/16 (수): 1, 6
  • 7/17 (목): 2, 7
  • 7/18 (금): 3, 8

참고사항:

  • 7/19 (토) ~ 7/20 (일): 5부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모든 사업자가 신청 가능합니다.
  • 7/21 (월) 이후: 남은 예산이 소진될 때까지 모든 사업자는 끝자리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✅ 신청 마감 및 기간 요약

  • 신청기간: 2025년 7월 14일(월) 09:00 ~ 11월 28일(금) 18:00

8월 이후 신청 안내
2025년 신규 개업자와 선불카드를 이용하려는 분들은 8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.

소상공인 자영업자


4. 📝 신청 절차 안내

  1. 웹사이트에 접속하기:
  2. 사업자 번호 입력
  3. 본인 인증 진행 (공동인증서, 휴대폰 인증 등)
  4. 카드사 선택 (등록할 카드를 지정)
  5. 신청이 완료되면 2~3일 내에 알림톡 또는 문자로 안내받게 됩니다.

소요 기간: 첫 주에는 5부제로 운영되며, 7월 19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모든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5. 💡 5부제 적용 예시

  • 사업자번호 끝자리 1 또는 6인 경우: → 7월 16일(수)에 신청하세요.
  • 끝자리 0 또는 5인 경우: → 7월 15일(화)에 접속하는 것이 좋습니다.

해당 날짜에 신청하지 못하더라도, 7월 19일 이후에는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
🛡️ 유의사항 정리

  • 5부제는 첫 주(7월 14일~7월 18일)에만 적용됩니다. 주말에는 제한 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  • 카드 등록 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니 등록할 때 신중하게 결정하세요.
  •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, 신청은 빠를수록 좋습니다.
  • 신청 후 2~3일 이내에 알림톡이나 문자로 안내를 드립니다.

6. 📌 최종 요약

"사업자등록번호의 마지막 숫자를 확인한 후, 7월 14일부터 시작되는 첫 번째 주에 맞춰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 이 후 7월 19일부터는 남아 있는 예산 내에서 모든 분들이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"

👉 지금 바로 예약해 두세요!
5부제 일정: 7월 14일(4•9), 7월 15일(0•5), 7월 16일(1•6), 7월 17일(2•7), 7월 18일(3•8)
그 후, 7월 19일부터는 누구나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 (예산이 소진되면 종료됩니다.)

반응형